4433 TDA Continental Summit 2025: 아시아 및 포커 표준에 대한 세계적 논의에 합류하다

TDA Continental Summit 2025: 아시아 및 포커 표준에 대한 세계적 논의에 합류하다

해외포커뉴스

TDA Continental Summit 2025: 아시아 및 포커 표준에 대한 세계적 논의에 합류하다 ()

포커라이프 0 161 0 0

d42d561c61e0ada6bb8b5eef33206a7a_1753241734_8719.jpg
 


2025년 7월 21일, 타이베이 CTP Asia Poker Arena에서 열린 WPF + TDA Continental Summit: Asia Edition은 아시아 포커의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운 행사였다. 단순히 규칙을 표준화하기 위한 자리를 넘어, 이번 서밋에서는 아시아 포커가 얼마나 성장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디로 나아갈지를 보여주는 생생하고 통찰력 있는 논의가 오갔다.


이번 협업 행사는 World Poker Federation(WPF), Tournament Directors Association (TDA), Asian Poker Sports Association(APSA)가 함께 주최했으며, 아시아 전역의 토너먼트 디렉터, 업계 리더, 그리고 지역 전문가들이 다양하게 참석했다. 서밋을 이끈 이는 Hong Kong Poker Players Association(HKPPA)의 Ray Chiu였으며, 그는 TDA 창립자 Matt Savage, TDA 이사진인 Neil Johnson, Lloyd Fontillas와 함께 논의를 주도했다. Metro Card Club의 Mylene Advincula, 일본의 Nobuyoshi Takizawa 같은 현장 전문가들은 아시아 포커 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날카로운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TDA Continental Summit 2025


7b986f84f4a2e2186f26065caaf5e617_1753239941_7692.jpg
 

이번 서밋의 핵심은 토너먼트에서 발생하는 실제 문제들을 다루고, 동시에 아시아 지역의 혁신이 향후 글로벌 포커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지를 모색하는 데 있었다. 하루 종일 이어진 자유롭고 솔직한 토론에서는 지역 현실과 세계 기준이 충돌하고 조화를 이루며, 포커 발전을 위한 공동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진지한 교류가 이뤄졌다. 오랜 시간 포커의 세계적 성장에 힘써온 Matt Savage는 “아시아는 이제 무시할 수 없는 시장”이라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곳에 사는 사람들의 수와 그들이 게임에 갖는 열정은 정말 대단해요. 작년에 일본에서 TDA 서밋을 열었는데, 15분 만에 매진됐습니다. 일본에서는 포커가 기술적으로는 합법도 아닌데도 말이죠. 이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고, 앞으로가 정말 기대돼요.”


테이블 뒤의 현실적인 과제들


이번 아시아 서밋에서는 단순한 전략 논의에 그치지 않고, 지역 토너먼트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규정과 판정에 집중했다. 레이트 레지스트레이션 정책부터 애매한 베팅 상황까지, 참가자들은 실제로 통용되는 방식과 문제점,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나눴다.


399df9a3c2fc178f5aa1d0ad33f0892a_1753240864_1945.jpg
 

가장 많이 논의된 주제 중 하나는 레이트 레지스트레이션과 리엔트리 관련 정책이었다. 특히, 리바이를 늘리거나, 20~25 BB 미만의 스택으로 입장하는 관행이 문제로 떠올랐다. 버튼이 지난 이후에만 레이트 레지스트런트를 착석시키는 방식에 대해서도 찬반이 갈리며, 규칙 준수와 플레이어 친화적 운영 사이의 균형이 쟁점이 됐다. 과도한 테이블 토크는 방해 요소로 지적됐고, 샷 클락 도입 및 타임 뱅크 운용에 있어서는 문화적 적합성과 일관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All-in – 1칩" 같은 모호한 베팅 액션, 시간 초과 후 행동, 구두와 실제 액션이 불일치할 때의 판정 문제도 반복적으로 언급됐다.


버튼 추첨 방식, 딜러 교대 중 레벨 변경, 테이블 정리 절차 등 디테일한 운영 방식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전자기기 사용, 오픈 핸드 리딩, 테이블에서 허용되는 언어 문제, 페널티 적용 범위, 마킹된 카드나 비표준 카드 대응, 바운티 이벤트 운영 방식 등도 주요 이슈로 다뤄졌다.


7b986f84f4a2e2186f26065caaf5e617_1753240023_6355.jpg
Pete Chen 플레이어


이 모든 논의의 중심에는 ‘강력한 플로어 스태프’의 필요성이 있었다. 신뢰와 공정성을 유지하려면 단순한 규칙뿐 아니라 숙련된 교육, 커뮤니케이션, 문화적 감수성을 갖춘 플로어 운영이 필수적이라는 데 참석자들은 공감했다. 아시아처럼 직접적인 대립을 피하는 문화에서는 기술적 전문성 못지않게, 상황을 잘 판단하고 부드럽게 조율하는 능력이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미래를 향해


서밋의 마지막은 대대적인 발표로 마무리됐다. 앞으로 TDA Asia Summit은 매년 타이베이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이로써 타이베이는 아시아 포커의 중심지로 확고히 자리 잡게 됐다. 세계 수준의 아레나, 활발한 지역 커뮤니티, 그리고 점점 커지는 국제적 존재감은 타이베이를 이 운동의 거점으로 만들기에 충분하다.


793a6d6d872adf865bbae19c9e8e0a14_1753240052_8344.jpg
Raymond Wong


이런 성장 과정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본 인물은 CTP 및 Asian Poker Sports Association (APSA)의 핵심 인물인 Raymond Wong이다. 그에게 있어 대만의 성장은 우연이 아닌, 지속적인 노력과 전략적 파트너십, 그리고 선의의 경쟁 덕분이다.


“대만은 2~3년 전부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고, David Tai의 합법화 추진 노력과 WPF가 포커를 스포츠로 인정한 점이 지금의 성숙함으로 이어졌다고 생각해요. 앞으로 더 많은 브랜드와 협회가 대만에 들어오겠지만, 우리는 오히려 환영합니다. 경쟁이 많을수록 더 많은 플레이어가 대만에 오게 될 테니까요. 그게 바로 우리가 원하는 그림이에요.”


그러나 안정은 끝이 아니라 시작일 뿐이다. Wong은 이번 서밋이 아시아 전체의 통합과 도약을 이끄는 전환점이 되었다고 말한다.


“아시아 전역에서 포커가 확실히 성장하고 있어요. 이번 TDA 서밋처럼 업계 리더들이 함께 모이는 자리가 생기면서 더 커질 거라고 생각해요. 대만이 진짜 아시아 포커 허브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고, 물론 아직 해결할 과제는 많지만, 비자 정책 등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대만은 분명 멋진 미래를 가질 수 있다고 확신해요.”


7b986f84f4a2e2186f26065caaf5e617_1753240098_2191.jpg
Matt Savage


Matt Savage 역시 같은 기대를 공유한다.


“이미 변화가 시작됐어요. 올해 라스베가스 여름 시즌에도 일본, 중국, 대만, 인도에서 온 수많은 플레이어들이 참가했어요. 정말 흥미로운 일이죠. 앞으로 5년 안에 아시아 플레이어들이 세계 최고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그는 아시아의 글로벌 무대 존재감이 앞으로 더 커질 것이라고 확신한다.


“실제 수치가 그걸 보여주고 있어요. 매년 아시아에서 오는 플레이어 수가 증가하고 있어요. 올해만 해도 World Series of Poker(WSOP)에 수백 명의 일본 플레이어가 참가했어요. 단지 플레이어들만이 아니에요. Masato Yokosawa 같은 블로거나 인플루언서들도 포커에 대한 관심과 흥분을 퍼뜨리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어요.”


행사가 마무리되고 다음 회차를 준비하는 가운데, 분명한 메시지가 하나 남았다. 이제 아시아는 세계 포커 씬에서 자리를 찾는 것이 아니라, 그 방향을 함께 정의하고 있다는 것이다.


원문 : Somuchpoker(https://somuchpoker.com/news/tda-continental-summit-2025)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424 명
  • 오늘 방문자 4,432 명
  • 어제 방문자 5,725 명
  • 최대 방문자 11,385 명
  • 전체 방문자 4,859,774 명
  • 전체 게시물 7,546 개
  • 전체 댓글수 2,245 개
  • 전체 회원수 2,05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